본문바로가기 글자 크게 글자 원래대로 글자 작게
  • 홈으로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
  • #
  • #
#1 #2 #3
 
우리학교일정 일정 더보기
이전달 일정    2023.04    다음달 일정
일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소변검사 실시 안내(2, 3학년)
작성자
정원주
등록일
Jul 4, 2022
조회수
2210
URL복사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본교에서는 2, 3학년 대상 소변검사를 아래와 같이 실시할 계획입니다. 학생 건강검진으로 매년 시행되는 의무 검사이며, 무료로 실시됩니다. 검사 당일 결석 등으로 검사를 받지 못하는 학생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조해 주시고, 검사 결과 유의한 소견이 있는 경우 가정통신문을 통해 추가 안내드리겠습니다.

일 시

202277() 09:00~12:35

대 상

2, 3학년 재학생 전체

검사비용

무료 (학교에서 지급)

검사기관

(사)한국학교보건협회 경기도북지부

검사항목

?요단백 : 신장질환(신증후군, 신우신염 등)을 발견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

?요잠혈 : 혈뇨는 사구체신염, 요로결석, 세균성방광염, 요로계감염, 신결핵, 출혈성질환 등을 조기 진단하는 검사

주의사항

?검사 전날 지나치게 많은 채소나 과일, 비타민 C를 섭취하지 않습니다.

?심하게 운동하지 않습니다.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첫 소변은 버리고 중간소변을 검사 막대기(스틱)에 묻힌 후 검사 요원에게 결과를 보입니다.

?손으로 검사막대기(스틱)를 만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생리 중인 학생은 검사 선생님께 생리 중임을 반드시 이야기하도록 합니다.

결과처리

? 검사 결과에 이상이 발견되어 결과 안내문을 배부받은 학생은 가까운 병원에서 재검진 및 정밀검진을 받기 바랍니다.

? 결과가 정상으로 나온 학생 : 결과 통지서를 따로 배부하지 않습니다.

소변검사의 필요성

 

  1. 신장은 한번 손상되면 재생이 힘들다.
  2. 자각증상을 느끼기 어렵다.

만성신장염은 병이 상당히 진행되어도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전신 쇠약, 빈혈, 다뇨증 등의 자각증상이 나타나

전문의를 찾을 때는 신장 기능이 상당히 저하되어 약물요법이나 식이요법으로는 치료가 어렵고 투석요법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1.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조기에 발견하면 대부분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기타 보조적인 방법으로도 치료 가능하다.

 

 

202274

 

금 릉 중 학 교 장 [직인생략]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목록
새글[0]/전체[800]
번호 제목 등록인 등록일 조회수 첨부
710 2022학년도 2학기 3학년 6,7반 1일형 현장체험학습 안내 및 사전 안전 교육 최현미 Oct 24, 2022 1518  
709 2022 경기도교육청 정책평가 교육공동체 설문조사 학생 참여 안내 정원주 Oct 21, 2022 1742
708 2022 경기도교육청 정책평가 교육공동체 설문조사 학부모 참여 안내 정원주 Oct 21, 2022 1692
707 교원능력개발평가 학부모 만족도 조사 실시 안내 정원주 Oct 21, 2022 1543
706 특성화고등학교 진학희망 지원서 작성안내 최현미 Oct 20, 2022 1527  
705 2022학년도 2학기 자유학년제 교과 학습 단계 피드백 및 프로그램 활동 안내 정원주 Oct 20, 2022 1630
704 개인형 이동장치(PM) 올바른 이용 안내 정원주 Oct 17, 2022 1671
703 2022 천체관측 진로체험 참가 신청 정원주 Oct 14, 2022 1788
702 2022년 ‘내 끼를 찾아줘’ 음악 행사 실시 안내 정원주 Oct 12, 2022 1776
701 2022년 세경고 「징검다리 진로체험」 안내 정원주 Oct 11, 2022 1776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다음 10페이지 이동 마지막페이지 이동
목록
  •  현재접속자 : 0명
  •  오늘접속자 : 63명
  •  총 : 11,402,303명